centos(5)
-
리눅스 (CentOS) 서버 하드웨어 시스템 확인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시스템 서버의 하드웨어 시스템 확인하는 명령어 에 대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윈도우 환경의 CPU-Z 나 기타 정보 확인 하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좋지만, 명령어만 알고 있다면 좀더 세밀한 정보를 알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명령어를 알고 있다면.. 그럼 하나씩 보도록 하겠습니다. 1. CPU 정보 확인 명령어 cat /proc/cpuinfo 리눅스 시스템은, 하드웨어나 기타 정보들을 파일로 관리하고 있어서 그 파일을 알면 해당 내용을 보아 정보를 확인이 가능합니다. CPU에 대한 정보는 /proc/cpuinfo 에 있습니다. 프로세스 번호는 0 부터 시작을하니, 23에서 끝난다면 24개의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다고 보면 되고 모델 네임은 Xeon CPU E5-2640 으로 확인할수..
2021.05.07 -
CentOS VMware tools 설치하기
VM Ware 에서 CentOS 를 구동하는데, 조금 더 쾌적한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VM Ware Tools 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VMware Workstation 12 Player] 환경에서 작성 됨. Player - Manage - install VMware Tools 선택( 사진은 설치 후 인데, 위치는 동일 합니다) vm에서는 VMware Tools 이 들어있는 설치 CD를 넣은것 처럼 인식하게 됩니다. 해당 설치 파일을 받기 위해 media 로 접근합니다. GUI 환경에서 보면, 바탕화면에 VMware Tools 라는 DVD가 삽입된것으로 나옵니다. 그럼 DVD로 접근해 볼까요? /cd media media 로 이동하여 ls 로 내용물을 보면, VMware Tools 라는 폴더가 있습..
2017.10.11 -
리눅스 iptables 실습하기 -2-
iptables 2번째 시간입니다. 지난시간에 iptables 의 기본정책을 모두 DROP 시켜놓은 상태에서, 원하는 특정 서비스만 통과 허용하는 정책을 확인해보았습니다. 이번시간에는 지난 시간(PING,DNS) 와 다른 서비스를 통과하는 것을 하는것보다 정책 설정에 관련된 내용을 조금더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서비스 추가 허용은, 지난 시간 입력한 내용에 포트번호만 알맞게 지정하여 주시면 됩니다) 정책설정에 있어 정답은 없습니다. 대중교통 을 예로 들어볼까요? 서울역에서 강남역을 가는길을 찾아 보았습니다. 서울역에서 9호선을 타고,노량진에서 신 논현역에서 조금 걸어가면 강남역이 나오는군요. 역시, 421번 버스를 타고 강남역에서 하차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가는 방법은 다양하고, 결국에는 강남역에..
2016.09.26 -
리눅스 iptables 실습하기 -1-
오늘은 centos 를 이용하여, iptables 실습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인 통신망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PC 1 의 통신망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는 PC2와 UDP를 통한 연결하여, DHCP서버를 운영하고, CentOS를 방화벽으로 이용하여 iptables 실습을 진행합니다. 2. PC 2의 통신망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3. 각 통신망을 모두 개통해 줍니다. ( 망 개통을 못하시는분은은 라우팅 테이블 설정 부터 공부하셔야 합니다) 4. Centos 의 iptables 서비스를 시작하고, 모든 정책을 DROP합니다. root@localhost 바탕화면]# iptables -t filter -P INPUT DROP [root@localhost 바탕화면]# iptables -t filte..
2016.09.21 -
리눅스 DHCP 서버 구성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Cent OS 를 이용한 DHCP서버 만들기를 해보겠습니다. 우선 DHCP서버 에 대해 설명 드리면, 간단하게, 'IP를 할당해주는 서버' 라고 생각할수 있겠습니다. 일반적인 기업 및 사무실은 고정 할당된 IP를 사용하는곳이 많습니다. 하지만 일반 가정집은 구역별로 할당되어 있는 IP중, 비어있는 IP를 할당받게 되는데 이러한 IP를 할당 해주는 역활을 하는 서버가 DHCP 입니다. 일정한 구역을 정해놓고, (예를 들면 서울시 강남구 강남 1동은 00~000의 IP대역을 할당) IP 할당대역을 정해놓은뒤, IP 요청이 들어오면 순서대로 할당을 해주게 됩니다. 이역시 DHCP는 할당해준 IP를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래야 똑같은 IP를 할당해 주지 않겠죠?) 다음과 같은 임의 통신..
2016.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