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6. 26. 23:13ㆍ리눅스
안녕하세요
오늘은 MariaDB 10.4.13 버전 바이너리 설치 방법 입니다.
yum 을 통해 인스톨은 많이 해 보셨겠지만, 실제 사이트에서 인터넷이 되는 환경은 일부 제한적이고
(특히 단말 PC는 인터넷이 되더라도, Server Zone 이 인터넷이 되는 환경은 극히 일부입니다)
바이너리 설치 방법입니다.
언제까지나 그렇듯, 저도 보려고 만들어 두기 때문에 간단하고 쉽게 설명 올려 둡니다.
1. 먼저 MariaDB 설치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https://mariadb.com/kb/en/mariadb-server-10-4-13/
꼭, 10.4 버전이 아니더라도 10.5 버전, 혹은 그 이하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tar -xvf 를 통해 압축을 풀어 줍니다.
* 시스템에 mysql 그룹과 mysql 계정을 만들어 줍니다. (OS 생성 모드에 따라 이미 생성되어있을수 있습니다)
> gruopadd mysql
> useradd -g mysql mysql
mariadb-10.4.13 파일의 소유자, 그룹을 mysql 로 변경해줍니다.
> chown -R mysql .
> chgrp -R mysql .
> ./scripts/mysql_install_db --user=mysql --datadir=/(설치 경로)/mysql/data 엔터
설치 후, root 계정과, mysql 계정에 권한을 부여합니다.
> chown -R root .
> chown -R mysql data
그다음, mysqld_safe 를 사용하여 기동합니다.
[mysql 폴더에서]
> ./bin/mysqld_safe --defaults-file=/(설치경로)/my.cnf --user=mysql &
그 후, 프로세스 기동 여부를 확인합니다.
> ps -ef |grep mysql
혹은, 3306 포트 listen 여부 확인합니다.
이제 프로세스가 기동되었으니, 패스워드와 외부에서 접속할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root)
비밀번호와 외부 접근 권한을 부여합니다
> grant all privileges on *.* to 'root'@'%' identified by '패스워드';
종료가 잘되는지도 확인해 봐야겠죠?
이상 MariaDB 10.4.13 버전의 바이너리 설치였습니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CentOS) 서버 하드웨어 시스템 확인 (0) | 2021.05.07 |
---|---|
MariaDB Upgrade 한방에 따라하기 (0) | 2020.06.28 |
CentOS VMware tools 설치하기 (1) | 2017.10.11 |
리눅스 iptables 실습하기 -1- (0) | 2016.09.21 |
리눅스 DHCP 서버 구성하기 (0) | 2016.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