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5. 7. 12:48ㆍ리눅스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시스템 서버의 하드웨어 시스템 확인하는 명령어 에 대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윈도우 환경의 CPU-Z 나 기타 정보 확인 하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좋지만,
명령어만 알고 있다면 좀더 세밀한 정보를 알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명령어를 알고 있다면..
그럼 하나씩 보도록 하겠습니다.
1. CPU 정보 확인 명령어
cat /proc/cpuinfo
리눅스 시스템은, 하드웨어나 기타 정보들을 파일로 관리하고 있어서
그 파일을 알면 해당 내용을 보아 정보를 확인이 가능합니다.
CPU에 대한 정보는 /proc/cpuinfo 에 있습니다.
프로세스 번호는 0 부터 시작을하니, 23에서 끝난다면 24개의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다고 보면 되고
모델 네임은 Xeon CPU E5-2640 으로 확인할수 있습니다.
그후 클럭이나 정보들이 나오게되구요.
cpu 코어 갯수 확인 이 필요하다면, 위 파일에서 processor 만 확인할수 있습니다.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 24
그런데 실제 Intel Xeon E5-2640 2.5GHz cpu의 코어는 6개 인데 12개로 표현됩니다.
이는 Hyper Threading 으로 인한 건데요
hyper threading 이 활성화 되면 물리적인 core의 수를 논리적으로 2개처럼 동작하게 합니다.
cat /proc/cpuinfo | egrep 'siblings|cpu cores' | head -2
siblings : 6
cpu cores : 12
라는 결과값으로 확인해 보실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모두가 아는 메모리 확인입니다.
가장 손쉬운 방법은 'free' 명령어 입니다.
기가 단위가 편하니 free -g 로 검색하면 좋습니다.
물론, cpu 처럼 메모리 정보도 /proc 에 있습니다.
cat /proc/meminfo 로 확인해 봅니다.
16기가 메모리를 사용하는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시스템 3대장 요소 중 마지막 하나, 디스크 정보 확인 입니다.
디스크 정보는 우선 두가지 로 나눠볼수 있습니다.
할당되어있는 디스크 볼륨과, 얼마나 사용을 하고있는가? (사용률)
혹은 서버에 꽂혀있는 디스크 정보(물리적인) 가 어떻게 되는가?
먼저 사용률을 본다면 간단합니다.
서버를 다루고계신다면 기본적으로 알고계실 df 명령어 입니다.
그럼, 물리적 디스크의 정보를 보는 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우선 디스크 구성을 보려면
cat /proc/scsi/scsi
위와 같이 입력하면 장착되어있는 디스크 정보가 나옵니다.
디스크는 1개 있는거로 보이지만
RAID 구성이 디어있으니, 사실 2개가 꼽혀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fdisk -l
위 디스크로 파티션 정보를 확인합니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X /var/preserve 하위 생성되는 Exaaa* 파일 (0) | 2021.11.29 |
---|---|
MariaDB Upgrade 한방에 따라하기 (0) | 2020.06.28 |
MariaDB 바이너리 설치 한방에 따라하기 (0) | 2020.06.26 |
CentOS VMware tools 설치하기 (1) | 2017.10.11 |
리눅스 iptables 실습하기 -1- (0) | 2016.09.21 |